삶에 유용한 대화 기술 4가지

대화 기술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어색한 사람과의 대화는 언제나 낯설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처음보는 낯선 사람과의 대화는 많은 사람들에게 부담스럽고 많이 불편할 수 도 있습니다. 이럴 때 몇 가지 유용한 기술을을 통해 낯선 사람과의 대화가 조금은 편해질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낯선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 유용한 네 가지 기술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이 기술들을 잘 활용하면 대화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가고, 새로운 관계를 맺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대화에 중요한 요소와 각 예시들을 작성할테니 대화의 팁으로 잘 활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적극적인 경청 (Active Listening)

적극적인 경청

먼저 적극적인 경청은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을 주의 깊게 듣고, 그에 맞춰 반응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단순히 상대방의 말을 듣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이 말하는 내용과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1. 상대방의 존중감을 높임: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면 그들이 존중받고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대화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감: 상대방의 말에 주의 깊게 반응하면 대화가 끊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2. 상호 이해 증진: 상대방의 입장과 감정을 이해하면 더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실천 방법

눈 맞춤: 상대방과 눈을 맞추며 이야기를 들으면 그들에게 집중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냅니다.

고개 끄덕임: 상대방의 말을 들으며 고개를 끄덕이면 그들이 말하는 내용에 공감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반복과 요약: 상대방의 말을 요약하거나 반복하여 확인하는 것은 그들의 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질문하기: 상대방의 말에 관심을 갖고 관련된 질문을 하면 대화가 더 깊이 있게 진행됩니다.

 

예시

눈 맞춤: 상대방이 “오늘 회사에서 힘든 일이 있었어요”라고 말하면, 눈을 맞추며 진지하게 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고개 끄덕임: 상대방이 “그래서 정말 힘들었어요”라고 말할 때 고개를 끄덕이며 “정말요? 많이 힘드셨겠어요”라고 말하면 공감이 전달됩니다.

반복과 요약: 상대방이 “새 프로젝트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요”라고 말하면 “새 프로젝트가 스트레스가 많군요”라고 반복해주면 좋습니다.

질문하기: “어떤 부분이 가장 힘드셨나요?”라고 질문하여 상대방이 더 이야기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적절한 질문 던지기 (Asking the Right Questions)

적절한 진물 던지기

대화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적절한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은 상대방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대화의 폭을 넓히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대화의 주제 확장: 적절한 질문을 통해 대화의 주제를 확장하고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관심사 파악: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그에 맞춰 대화를 이끌어 갈 수 있습니다.

신뢰 형성: 상대방의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질문을 던지면 신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천 방법

열린 질문 사용: 예/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닫힌 질문보다는, 상대방이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열린 질문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어땠어요?”보다는 “오늘 하루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뭐였어요?”라고 묻는 것이 좋습니다.

관심사에 맞춘 질문: 상대방의 관심사나 말한 내용에 맞춰 질문을 던지면 대화가 더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경청 후 질문: 상대방의 말을 잘 듣고 그에 맞춰 질문을 던지면, 대화가 끊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흐릅니다.

 

예시

열린 질문 사용: “주말에 뭐 했어요?”보다는 “주말에 가장 즐거웠던 순간이 뭐였어요?”라고 묻는 것이 좋습니다.

관심사에 맞춘 질문: 상대방이 “저는 책 읽는 걸 좋아해요”라고 말하면 “최근에 읽은 책 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건 뭐였어요?”라고 묻습니다.

경청 후 질문: 상대방이 “저는 요리를 즐겨요”라고 말하면 “어떤 요리를 가장 좋아하세요?”라고 질문하여 대화를 이어갑니다.

 

공감과 동감 표현 (Expressing Empathy and Sympathy)

공감과 표현

공감과 동감을 표현하는 것은 상대방과의 정서적 연결을 강화하고, 더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정서적 연결 강화: 공감과 동감을 통해 상대방과 정서적으로 연결되고, 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신뢰 형성: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고 동감을 표현하면 신뢰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긍정적인 대화 분위기 조성: 공감과 동감을 통해 긍정적이고 따뜻한 대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실천 방법

적극적인 경청: 상대방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그들의 감정에 공감합니다.

감정 표현: 상대방의 감정에 대해 이해하고, 그에 맞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그렇게 느꼈다니 정말 안타깝네요”와 같은 표현이 도움이 됩니다.

위로와 격려: 상대방이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위로와 격려의 말을 건넵니다. 이는 그들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예시

적극적인 경청: 상대방이 “최근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요”라고 말하면 “무슨 일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았나요?”라고 물어봅니다.

감정 표현: 상대방이 “정말 지쳤어요”라고 말하면 “그렇게 느끼셨다니 정말 안타깝네요”라고 말합니다.

위로와 격려: 상대방이 “시험에 떨어져서 속상해요”라고 말하면 “정말 아쉽겠어요. 그래도 다음번엔 분명히 잘하실 거예요”라고 위로합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Non-Verbal Communication)

비언어적 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 외적인 요소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방법으로, 상대방에게 신뢰와 관심을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1. 신뢰 형성: 비언어적 신호를 통해 상대방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습니다.
  2. 대화의 분위기 조성: 긍정적인 비언어적 신호는 대화의 분위기를 더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3. 의사소통 강화: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말로 전달하기 어려운 감정이나 의도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천 방법

몸짓과 자세: 열린 자세와 긍정적인 몸짓은 상대방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습니다. 팔짱을 끼지 않고, 몸을 상대방 쪽으로 기울이며, 편안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표정: 미소를 짓거나 적절한 표정 변화를 통해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보냅니다.

눈 맞춤: 상대방과의 눈 맞춤은 그들에게 집중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냅니다.

침묵과 공간: 때로는 침묵도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말을 이어갈 시간을 주거나, 필요한 경우 개인 공간을 존중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시

몸짓과 자세: 상대방과 대화할 때 팔짱을 끼지 않고, 몸을 상대방 쪽으로 기울이며 이야기를 듣습니다.

표정: 상대방이 즐거운 이야기를 할 때 미소를 지으며 반응합니다.

눈 맞춤: 상대방이 이야기를 할 때 눈을 맞추며 집중해서 듣습니다.

침묵과 공간: 상대방이 생각할 시간을 필요로 할 때 침묵을 지키며 기다립니다.

 

오늘은 낯선 사람과 대화를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4가지 기술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 예시를 포스팅 해 보았습니다. 사실 이 네 가지 기술을 활용하면 유용하기는 하지만 이 모든걸 다 신경쓰기는 어려울거에요. 여러분이 잘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몇가지 기술만을 잘 염두하시고 활용한다면 편한 대화를 이끌어 갈 수 있을겁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